KC 인증/안전 인증

KC 안전 인증 규격

Tiger 듀스 2023. 5. 8. 23:37
728x90

<<국내에서 사용되는 전기전자제품의 안전성을 검증하고 인증하는 규격>>

국내에서 유통되는 전기전자제품들은 안전인증 또는 전자파 인증, 에너지 효율 인증을 받아야 됩니다.

※ 각 제품에 따라 받는 인증은 다를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은 안전 인증에 대한 내용을 간단하게 설명하고자 합니다.

 

우선, KC 안전 인증의 종류는 아래와 같이 3가지로 나누어 집니다.

 

1. 안전 인증의 종류

 1) 공급자 적합성 확인 인증

   -,  저위험 전기용품의 경우 기업 또는 민간시험소에서 스스로 제품 시험을 실시하여 안전 기준의 적합 유무

       확인 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들어, 어뎁터 방식의 모니터 등이 있습니다.

       ※시험이 끝나 성적서가 나오면 기업의 경우 아래 사이트에 회원가입하여 등록을 해줘야 됩니다.

https://kips.kr/index.do?menuNo=2001110&nttId=null 

 

한국제품안전관리원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 위치, 불법, 불량제품 조사기관, 안전교육, 품질관리 등 안내.

kips.kr

< 한국 제품 안전 관리원>

 

 2) 안전 확인 인증

   -, 안전 인증의 규제완화의 이유로 전기용품에 대한 제품시험은 실시하나, 공장심사, 정기심사를 하지 않습니다.

      필자의 경험을 토대로 텔레비전이나 어뎁터 방식이 아닌 내장에 교류 -> 직류 SMPS 방식의 경우

      안전확인 인증을 받습니다.

 3) 안전 인증

   -, 대한민국에서 수출하고자하는 국내외 전기용품에 대한 인증을 말하며, 공장심사 및 정기심사가 필수입니다.

      필자의 경험을 빗대어 예를드는 제품의 경우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이 있습니다.

 

      안전 확인 인증, 안전인증을 받은 제품의 경우 아래의 사이트에서 검색이 가능합니다.

      ※ 만약 판매되고 있는 KC 제품의 안전 번호가 아래 사이트에서 검색되지 않는다면, 

      문제가 크게 될 수 있습니다....... (회사 영업 정지, 해당 제품 전체 환불 등 등 등)

 

https://safetykorea.kr/release/certificationsearch

 

안전한 제품, 행복한 국민 제품안전정보센터입니다.

분류별 전체 전기용품 생활용품 어린이제품 전체 안전인증 안전확인 전체

safetykorea.kr

<제품 안전 정보 센터>

 

2. 안전 규격 사이트

  -, 위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규격들을 확인 후 시험소에서는 인증을 진행하게 됩니다.

     이러한 규격은 아래의 사이트에서 해당 제품의 규격을 찾아 확인 가능합니다.

 

https://www.kats.go.kr/content.do?cmsid=304 

 

국가기술표준원 > 정책 > 제품안전 > 안전기준열람 > 전기용품안전기준

 

www.kats.go.kr

<국가기술표준원>

3. 국내 3개 기관

  1) KTC

  2) KTL

  3) KTR

 

4. 만약 규격이 변경되거나 , 규격이 애매할 때 참고 사항

  -, 안전 규격이 어느정도 체계적으로 규격화 되어있다고 아래와 같이 요건해석이 애매모호 할 때가 있습니다.

    시행일자, 파생 가능 여부 , 적용제품(적용일자가 통관기준인지 생산일 기준인지) 등

    새롭게 업데이트되는 규격을 임의로 해석했다가는 나중에 뒷목을 잡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 시험소에 전화나 메일에 답장을 보내거나, 연구원에게 질의하는 방법보다는 깔끔하게

    내용을 증빙 할 수 있는 아래의 방법을 추천합니다.

 

 

https://www.epeople.go.kr/nep/crtf/userLogn.npaid?returnUrl=%2Fnep%2Fpttn%2FgnrlPttn%2FPttnRqstWrtnInfo.paid 

 

국민신문고

 

www.epeople.go.kr

<국민 신문고>

 

 

의아할 수 있겠지만, 위 사이트에 민원 신청을 하면, 관련 국가행정조직에서 정확한 답변을 들을 수 있고,

나중에 사후관리나 문제가 되었을 때 내용 증빙도 할 수 있습니다.

필자의 경험을 삼아서는 내용이 경우에 따라 다르겠지만 1~2주정도 답변으로부터 오래걸립니다.

따라서, 이왕 질의할 내용이 있다면, 최대한 정확한 의사표현과 다양한 관점에서 질의하기를 추천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