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내용에 앞서 특수대학원 이란?

 

특수대학원은 주말에 운영되는 대학원을 의미하고,

보통 직장인들이나, 평일에는 다른 일을 하는 사람들이 많이 지원하고 있습니다.

 

 

필자의 경우 특수대학원을 2023년 3월부터 입학하여 다니고 있습니다.

 

우선,  일반대학원과 비교하여 차이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그림 1

장점: 

 1.  시간적 여유가 없는 사람들의 조금이나마 경력 개발 및 석사 학위를 취득 가능합니다.

 2. 직장인들의 경우 직장의 월급을 통해 석사학위의 등록금을 마련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보충 가능합니다.

 3. 다양한 분야 및 직책의 학생들과 교류를 통해 인맥을 쌓을 수 있습니다.

 

단점:

 1. 직장이 바쁘거나 , 공부를 소홀히 하는 사람에게는 논문쓰는 시간이 없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습니다.

 2. 석사학위를 취득하기위해 오히려 다른 곳에 투자 및 사용할 경제적 비용을 등록금에 많이 소비할 수 있습니다.

    필자의 경우 1학기에 500만원 대였다.....

 

3. 더 전문적인 지식 개발에는 일반대학원과 비교하여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습니다.

4. 직장이 없는 경우 예를 들어 아르바이트나 잠시 휴직인 사람들이 특수 대학원을 다닐 경우 

    직장의 기술과 관련된 논문을 작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오히려 벅찰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장/단점은 필자가 생각나는 것과 같이 기입하였으나.

개개인마다의 상황, 경험, 목표에 따라 충분히 약이 될지 독이 될지는 다름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728x90
반응형

'진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스터고 진학  (0) 2021.08.20
728x90

내용에 앞서 마이스터란?

 

더보기

독일어로 'Meister' 의 단어로 '장인'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한국의 마이스터고란 

 

고등학교  때부터 전문과정을 거쳐, 선취업 후진학이라는 명목 아래에

국가와 기업적인 차원에서 기술 발전 및 개인으로써 기술 향상을 의의로 두고 있습니다.

 


필자의 경우 마이스터고를 2016년에 입학 2019년 2월에 졸업하였고(자기소개;)

전기전자공학과를 통해 FW 개발쪽으로 회사를 입사했습니다.

 

우선, 경험으로부터 생각한 마이스터고의 현실적 장,단점을 얘기하자면,

 

 

 

 

장단점

 1) 기숙사 생활이다보니, 트러블이 생기기도 혹은 자립심을 가질 수 있습니다..

 2) 자신이 원하는 진로를 보다 빠르게 배울 수 있으며,

    그러다 보니, 자기가 생각한 진로 및 목표가 맞지 않는 친구들은....다시 Feedback~

 

 

 

 

 

 

장점

 1) 기숙사비, 수업비 등 모든 부분에서 무료이며, 급식비만 유료인 시스템입니다.

 2) 기술을 전문대? 수준까지는 학습할 수 있습니다.

 3) 취업을 보다 빠르게 하여, 일반적인 학생(일반고-> 일반대)보다는 금전적으로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4) 일학습병행제를 통해 마이스터고 특성상 3년동안 대학교 진학금지를 깨고 대학교를 기업과 연계하여

    다닐 수 있습니다. ( 다음 페이지에 상세 내용 기재 예정)

 

 

 

 

단점

 1) 대기업은 현실적으로 연구소가 아닌 3교대 또는 품질관리팀으로 입사하게 됩니다.

     이에, 기술을 쌓아 현실적으로 활용하는 기회가 로또를 맞을 확률보다 낮으며, 일하는 기계가 된다고...

 

 2) 중견기업의 경우에도 대부분은 대기업(S사) 하청을 많이 추천하는 경우가 짙습니다..

 

 3) 기술을 배우는 정도가 애매모호하기에, 강소기업의 연구소, 대기업의 연구소는 매우 들어가기 힘듭니다.

     요즘은 경력직을 중요하게 보다보니,,

 

 4) 학교자체가 장인을 키우는 명목이지만, 그 방향성과 선생님들이 원하시는 방향성과 차별성이 있습니다.

    기술을 활용하는 직장(강소, 중견) 에서 기술을 쌓는게 목적이라 하지만

    선생님들은 정작 공기업 대기업(3교대)를 추천합니다.(학교의 취업률, 대,공기업 취업 비율이 중요하기에..)

 

 

 

 

 


장단점 소개에 앞서 이 글을 보고계신 마이스터고 선생님 및 담당자분의 경우 아래의 글을 추가적 권장드립니다.

 

 

 

 

 

요청사항

 

 1) 기업 맞춤형 인재의 폭을 넓혀 주십시오.

    특정 분야(예: 반도체)의 영역 뿐만아니라 다양한 기업에서의 요하는 기술 중심으로 맞춤형 인재가 필요합니다.

 

 

 

 2) 정말로 필요한 과목을 신설해주십시오.

   경험에 따르면 필자의 과의 경우 전기배선, C언어, 전자회로 분석 등을 배웠습니다.

   하지만 정말로 필요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전기배선 : 자격증을 위한 과목이 아닌 왜 동작이 이렇게 되고, 필요한지를 가르쳐주십시오.

 

 

 

 

   프로그래밍 : 전자회로와 연계하여 임베디드 영역을 보강해주십시오.

                   예를 들어, 리모컨의 경우 파형을 찍어 센서의 스펙 또는 왜 이렇게 이루어지는지 확인 후 

                   리모컨 칩 솔루션에 어떤 버튼이 나오면 특정 파형이 나오도록 세팅하는 것이라도..

                   Visual studio 기본 세팅 및 각 언어별 프로그램 1개씩 개발이라도...

 

 

 

 

  전자회로 분석: 센서의 파라미터 보는법, 회로 제작(어떠한 센서는 몇 옴의 저항과 콘덴서를 달아야하는지)

                     오실로스코프를 통해 노이즈 제거 방법 및 계산 방법

                     과제 준 다음 회로 구성하여 학생들이 직접 만들 수 있도록 필요하면 센서도 구입해주시고..

 

 

 

 

이상 글 마칩니다.

 

 

 

 

728x90
반응형

'진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ecial Graduate Schools (특수대학원)  (0) 2023.05.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