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내용에 앞서 특수대학원 이란?

 

특수대학원은 주말에 운영되는 대학원을 의미하고,

보통 직장인들이나, 평일에는 다른 일을 하는 사람들이 많이 지원하고 있습니다.

 

 

필자의 경우 특수대학원을 2023년 3월부터 입학하여 다니고 있습니다.

 

우선,  일반대학원과 비교하여 차이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그림 1

장점: 

 1.  시간적 여유가 없는 사람들의 조금이나마 경력 개발 및 석사 학위를 취득 가능합니다.

 2. 직장인들의 경우 직장의 월급을 통해 석사학위의 등록금을 마련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보충 가능합니다.

 3. 다양한 분야 및 직책의 학생들과 교류를 통해 인맥을 쌓을 수 있습니다.

 

단점:

 1. 직장이 바쁘거나 , 공부를 소홀히 하는 사람에게는 논문쓰는 시간이 없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습니다.

 2. 석사학위를 취득하기위해 오히려 다른 곳에 투자 및 사용할 경제적 비용을 등록금에 많이 소비할 수 있습니다.

    필자의 경우 1학기에 500만원 대였다.....

 

3. 더 전문적인 지식 개발에는 일반대학원과 비교하여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습니다.

4. 직장이 없는 경우 예를 들어 아르바이트나 잠시 휴직인 사람들이 특수 대학원을 다닐 경우 

    직장의 기술과 관련된 논문을 작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오히려 벅찰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장/단점은 필자가 생각나는 것과 같이 기입하였으나.

개개인마다의 상황, 경험, 목표에 따라 충분히 약이 될지 독이 될지는 다름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728x90
반응형

'진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스터고 진학  (0) 2021.08.20
728x90

<<전원 코드의 부착 방법에 따른 type>>

X형 부착 : 쉽게 교체 가능한 전원 코드 부착 방법

 

Y형 부착:  대리점이나 일반 판매점에서 해당 전원코드를 교체 가능한 부착 방법

 

Z형 부착 : 교체하기 어려원 전원 코드

  예: 기기 내부 , 파손하지 않고는 교체 불가능한 부분

728x90
반응형
728x90

<<기기에서 사용하는 외부 유연성 코드>>

 

위 개념 이해 전 必 사전 지식

https://knowledge-skills.tistory.com/34

 

Supply leads (전원접속용 인출선)

1.전원접속용 인출선의 요구사항 1) 기기에 지정된 최대 전류 및 전압을 전달할 수 있어야 합니다. 2) 기기의 동작상태에서 열화되어서는 안 됩니다. 3) 기기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정상

knowledge-skills.tistory.com

  1.  기기간 접속코드와  전원접속용 인출선의 차이점

       기기간 접속코드를 다른 말로 상호 연결 코드라고 할 때 아래의 기준에 따라 나눌 수 있습니다.

      1) 위치

       -,상호 연결 코드는  일반적으로 필요에 따라 쉽게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케이블 입니다.

         예 : 멀티탭  또는 연장코드

 

        이에 반면, 전원접속용 인출선의 경우 일반적으로 제자리에 고정되어 있으며 장치 또는 장비와 전원 공급 장치를 

        영구적으로 연결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예:  벽 뒤나 기기 내부 안에 숨겨져 있음

 

     2) 크기 및 굵기

      -, 상호 연결 코드는 전원접속용 인출선과 비교하여 쉽게 운반하는 것에 설계되었기 때문에

         더 짧은 거리 및 더 얇고 유연하게 설계됩니다.

  

         이에 반면, 전원 접속용 인출선의 경우 더 높은 전류 및 전압을 처리하는데 설계되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상호 연결 코드와 비교하여 더 두껍고 더 견고하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기기의 전원 공급 장치에 연결된 전선>>

 

1.전원접속용 인출선의 요구사항

 

1)  기기에 지정된 최대 전류 및 전압을 전달할 수 있어야 합니다.


2)  기기의 동작상태에서  열화되어서는 안 됩니다.


3)  기기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정상적인 사용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응력이나 변형을 견딜 수 있어야 합니다.


4) 사용자와 기기의 충전부 사이의 위험한 접촉을 방지하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과전압에 대한 규정된 내절연성>>

위 개념 이해 전 必 사전 지식

  1.  임펄스 전압

  :낙뢰, 스위칭 작동 및 정전기 방전과 같은 요인으로 인해 전기 회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과전압 상태를 의미합니다.

 

  2.  내절연성

  : 임펄스 전압에 의한 과전류가 기기의 절연체에 공급되어 파괴 및 손상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절연성 저항이 임펄스 전압을 잘 견디는지를 의미 합니다.

    보통 임펄스 전압의 과전류를 막기 위해 절연 저항의 크기는 MΩ 이상으로 회로를 구성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제조자가 지정한 기기의 전류>>

 

만약 전류가 지정되어 있지 않다면,

KC60335-1 에서의 정격 전류는 아래와 같이 계산합니다.

 

전열기기 : 정격 전류 (A) = 정격 입력(W) / 정격 전압(V)

 

전동기기 및 복합기기(전열기기+전동기기) = 정격 전류(A) = 정격전압을 공급하여 동작할 때 측정한 전류

 

 

728x90
반응형
728x90

<<제조자가 지정한 기기의 전력>>

 

정격 입력 = 정격 전력

 

위와 같은 용어이며, 

 

단위 : W

 

공식 : P=VI 

 

 

 

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기기에 정격 전압을 공급하였을 때  기기가 작동 중일 때의 실제 전압>>

 

 

    정격전압과 동작 전압은 비례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기기가 동작되도록 설계된 동작 전압을 기기에 공급하였을 때

   작동 중의 기기의 부하에 공급되는 최대 전압을 의미합니다.

 

   이때, 동작전압은 공진전압을 고려해야 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