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3트 만에 재 도전 결과는 ...!! >>

 

필자의 경우 컴공과로써 정보처리기사는 하나의 자존심이 걸린 문제였습니다.

그러나 분명히 선배들이 쉽다고 한 정보처리기사의 난이도가 ,,  한 마디로 정리하자면

 

" 삐삑 운 입니다."

그냥 랜덤 종이 비행기 던져서 멀리가면 합격처럼 회차 및 각자의 경험에 따라 난이도가 많이 차이납니다.

시험의 자격은 존중하나 , 위 기사 자격증을 합격했다고, 코딩을 잘한다거나 실무적으로 도움이 되지는 않습니다.

그런 부분에서는 국가 자격증이라는 말이 많이 아쉬운 시험이긴 합니다만... 오늘은 3트 도전 후기를 공개합니다.

 

교재 (※광고 아님)

 

https://search.shopping.naver.com/book/catalog/32444233247?query=%EC%88%98%EC%A0%9C%EB%B9%84%20%EC%A0%95%EB%B3%B4%EC%B2%98%EB%A6%AC%EA%B8%B0%EC%82%AC%20%EC%8B%A4%EA%B8%B0%202022&NaPm=ct%3Dlmd1oqyo%7Cci%3Da2cf9e97f59fae6d0bbb89de814183eaecf174d9%7Ctr%3Dboksl%7Csn%3D95694%7Chk%3Dd615fdea687af4db70d80b431cc7d3acee5c1c19 

 

2022 수제비 정보처리기사 실기 (1권+2권 합본세트) : 네이버 도서

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

search.shopping.naver.com

https://search.shopping.naver.com/book/catalog/32473107798?query=%EC%88%98%EC%A0%9C%EB%B9%84%20%EC%A0%95%EB%B3%B4%EC%B2%98%EB%A6%AC%EA%B8%B0%EC%82%AC%20%EC%8B%A4%EA%B8%B0%202022&NaPm=ct%3Dlmd1p5mg%7Cci%3Ddf6aa7cd4ca1f07c2894847c70ea4f5c30ee2df0%7Ctr%3Dboksl%7Csn%3D95694%7Chk%3D91a00fb721be247ac7839648d38d25bc8efd90e8 

 

2022 수제비 정보처리기사 실기 Final 실전 모의고사 : 네이버 도서

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

search.shopping.naver.com

시험일

2023.07.22일 (일요일)

 

2주일 전 공부법

구매한 교재에 있는 이론 부분에 중요체크된 부분을 노트에서 다 수필로 정리하였습니다.

A4 (양면)기준으로 9장 정도 나온 것 같고 하루 공부 시간은 퇴근 후 3시간 정도하였습니다.

1주일 전 공부법

수제비 파이널 문제집 틀린문제들을 노트로 정리하였습니다.

A4 (양면)기준으로 3장 반 정도 나왔고, 공부 시간은 동일합니다.

 

대망의 하루 전 공부법

노트 정리한 것들을 보고 또 보고 끝까지 봤습니다.

또한 SQL 문은 한 번 훑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정보처리기사의 경우 외워야 될 부분이 엄청 많고 실제 출제되는 문제는 랜덤하기 때문에,

교재의 내용들을 전체 3회독 이상은 무조건 해야 됩니다.

 

 

인증샷 및 결과

정보처리기사

TIP

1. 틀린 문제 노트 정리

 

2. 중요 개념(이론) 노트 정리

 

3. 비전공자의 경우 시험 한 달 전부터 준비 필요 

    4주전에는 C언어 기본 문법

    3주전에는 JAVA 및 SQL 기본 문법

    2주전 기본 이론 및 틀린 문제 정리 

    1주전 노트필기 이론들 외우기

 

4. 고득점하기 위해서는 요즘 출제되는 문제 

 

  1) (3) 데이터 입출력 구현 칼럼 이론 다 외우기

  2)  디자인 패턴 영문, 한글 단어 및 각 패턴 별 내용 구분 및 외우기

  3) (8)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용어들 내용과 해당 단어들 매칭

  4) 암호 알고리즘 (대칭키 VS 비대칭키 VS 해시) 부분 다 외우기 

 

5) SQL 문 ,C언어, JAVA 의 경우 교재 문제들이나 이론들을

    각각 MYSQL,ORACLE 및 VISUAL CODE, VISUAL STUDIO , 이클립스 같은 툴 설치 후

    직접 코딩하면서 결과 및 코드가 왜 이런 결과가 출력되는지 확인하시면 좋습니다.

     ※ 코딩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부분이지만 ,최근 출제 유형 자체가 코딩 문제가 60%정도로 많이 나오므로,

        코드 문제만 잘 풀더라도 합격 근접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 리셋 후 6년 후 재 시험 후기 ...!! >>

 

한국사 능력 검정 시험 고급 후기를 아래와 같이 요약해서 공유드립니다~

 

필자의 공부법은 매우 벼락치기 및 T적인 요소가 담겨 있는 방법으로 주의 부탁드리겠습니다

 

시험을 본 계기:

우선, 한국사 이력으로 지금으로부터 6년 전(2017년)  '90점'으로 통과하였지만,

박사 과정 전문연구요원 자격은 유효기간 4년이라는 말에 ...... 6년만에 다시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교재 (※광고 아님)

시험 3 주일 전 교재는 아래와 같이 구매해서 준비하였습니다.

 

1. 2023 큰별쌤 최태성의 별별한국사(상,하)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0452100

 

2023 큰별쌤 최태성의 별별한국사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1,2,3급)(상) | 최태성 - 교보문고

2023 큰별쌤 최태성의 별별한국사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1,2,3급)(상) |

product.kyobobook.co.kr

2. 2022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대비 실전모의고사(봉투)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808169

 

2022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대비 실전모의고사(봉투) | 한국사능력검정 연구회 - 교보문고

2022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대비 실전모의고사(봉투) |

product.kyobobook.co.kr

 

시험일

2023.08.13일 (일요일)

 

 

2주일 전 공부법

6년 전에도 그렇지만 지금도 마찬가지로 최태성 선생님 (별님) 의 강의를 들으면서 공부하였습니다.

하지만, 이전에는 판사를 직접 쓰고 노트 필기 열심히 쓰는 방법이었다면 ,, 

이번회차는 일하면서 공부시간도 널널하지 않았고,, 시험 보기 전 2주일 전에 벼락치기에 가까운 시간이었습니다..

 

아래의 관련 강의를 듣는데 총 40강이 이루어져 있습니다.

40강의 총 시간은 ABOUT 1600분 정도 였고,,,,,,,

1600분을 60분으로 시간 단위로 나누게 되면 26.66시간 정도,,

그리고 이 시간을 일주일 단위로 나누게 된다면 하루 강의를 듣는 시간은 !!

 

" 3시간 50분" 이 되게 됩니다.

 

기본 개념을 우선 가볍게 이해하는 시간이라고 생각해주시면 됩니다.

 

간련 강의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E7ogCa1_I6uCI7c_36Ms_3pbc-CspLch 

 

[심화별개념7]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PT속성 통강

 

www.youtube.com

1주일 전 공부법

물론 한국사의 모든 내용을 이해하고 왜 일어났는지에 대한 기본 역사를 아는 것도 좋은 성적을 받기에 중요합니다만

만약 한국사 능력 검정 시험을 빠른 시일내 합격하기 위해서는 많은 문제를 푸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필자의 경우 아래의 CBT 전자문제집 온라인 문제 2023~2013(10년치)과 구매한 교재의 문제들을 차례대로 풀고, 

틀린 문제나 찍어서 푼 문제들을 노트에 그대로 문제, 답 형식으로 모두 적었습니다.

 

그렇게 하루에 공부한 시간 2~3시간 정도였습니다.

 

대망의 하루 전 공부법

정리된 오답노트를 지구 상 온 힘을 다해서 계속 보고 일어서서 보고 밖에서 걸으면서 보고 외웠습니다.

그리고 잠은 자야 합니다.... 그래야 자면서 외웠던 이론들이 다시 외워집니다. (3시간 정도 숙면 ) 후 시험

필자의 경우 마지막 날 꿈에서 얼핏 조선시대를 걷는 꿈이 ...

 

인증샷 및 결과

한국사 능력 검정 시험 결과

결과는 조금 아쉽지만 2급이었습니다.

 

그래도 전문연구요원 필요 능력인 3급 이상이니 , 만족하여 갑니다. 

 

만약 1급 도전이라고 하시면,  (필자 기준 )고려시대, 일제강점기 문화, 독립 운동 부분 면밀히 공부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절연에 따라 기기의 유형을 나눌 수 있습니다.>>

 

전기를 사용하는 모든 제품들은 사용하는 전기의 용량과 절연의 방법에 따라 기기의 클래스를 나눌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클래스를 나누기 위해서는 절연에 대한 내용을 숙지 후 이해하는 것을 추천하므로 아래의 블로그 글을

먼저 확인 후 아래의 글을 접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https://knowledge-skills.tistory.com/38

 

Type of Insulation (절연의 종류)

1. Basic insulation (기초절연) - , 사용자가 만질 수 있는 전도성/비전도성 부품에서 감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기기의 충전부로부터 절연한 것 예를 들어, 전원코드의 내부 배선을 감싸는 기본 절

knowledge-skills.tistory.com

 

1.Class 0 appliance (0종 기기)

 -, 기초 절연에만 의존하는 기기를 의미합니다.

    예를들어, 전기가 통하는 구리선에 기초적인 절연체가 있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접근이 가능한 상태로,

    주위 환경 분진이나 주위에 온도 등이 적합해야 안전할 수 있는 기기들을 의미합니다.

 

   ※  0종기기와 01종기기에 해당되는 기기는 현재로서는 보기가 쉽지 않습니다.

 

2.Class 01 appliance (01종 기기)

-, 0종기기에서 접지 단자는 가지고 있으나  접지극이 없는 전원플러그를 사용하는 기기를 의미합니다.

 

3.Class 1 appliance (1종 기기)

-, 기초절연에서 추가적인 안전조치(예를 들어 외함) 를 한 기기를 의미합니다.

   1종기기의 경우 접지극이 있는 전원 플러그를 사용하는 등의 대책을 추가합니다.

   예를들어, 외함이 금속으로 되어 있는 냉장고나, 세탁기 등 여러 가전기기에서 사용합니다.

 

접지극이 있는 전원 플러그

 

4.Class 2 appliance (2종 기기)

-,  기초절연에서 이중 절연 또는 강화 절연을 추가적으로 안전조치를 한 기기를 의미합니다.

     2종기기의 경우에는 접지극이 있는 플러그를 사용하지 않는 대신에,

     전원 배선 등의 충전부를 감싸는 외함으로 절연이 되는 플라스틱이나, 절연체로 추가적으로

     강화 절연을 하는 경우를 사용합니다.

     예를들어. 텔레비전이나 모니터 등이 있습니다.

 

5.Class 3 appliance (3종 기기)

-,  3종기기의 경우 앞서 보았던 기기들과 달리 사용자가 사용했을 때 안전하다고 사용하는 

    전원을 사용하는 기기들을 의미합니다. 이때, 그 사용 전원을 안전초저전압이라고 합니다.

    안전초저전압의 기준으로는 교류의 경우 첨두 값이 42.4V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직류의 경우 그 전압이 42.4V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728x90
반응형

'KC 인증 > 안전 인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KC 안전 인증 규격  (0) 2023.05.08
728x90

<<이 세상에서 존재하는 모든 수량을 의미>>

 

'수'란 아래와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복소수는 허수와 실수를 이루는 셀 수 없는 무한의 수의 양을 의미합니다.

 

허수는 가상의 수를 의미하며, 기호로는  i, 또는 j 를 사용합니다.

 

 

 

 

728x90
반응형

'수학 > 미적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exponential Function (지수 함수)  (0) 2023.12.19
Logarithmic Functions (로그 함수)  (0) 2023.12.19
Inverse Function (역함수)  (0) 2023.12.19
One-to-one function (1:1 함수)  (1) 2023.12.19
Power Function (멱함수)  (1) 2023.12.19
728x90

<<에너지 절약을 근거를 목적으로 하는 전기제품의 인증 규격>>

{"originWidth":386,"originHeight":217,"style":"alignCenter"}

국내에서 유통되는 전기전자제품들의 규격에 따라 에너지 소비효율등급, 대기전력 인증을 받아야 됩니다.

 

1.에너지 효율 인증의 종류

1) 에너지소비효율등급 (예: 텔레비전 수상기)

2) 고효율에너지기자재인증제도

3) 대기전력저감프로그램 (예: 모니터)

※ 위 각 종류별 해당되는 품목들은 규격이 업데이트되면 대기전력에서 에너지 소비효율이될 수도 있으므로,

   규격을 항상 확인 부탁드립니다.

2. 신청 방법

1) 에너지 효율 인증을 시행하는 기관에 제품을 전달하여 인증을 받으면 됩니다.

2) 기관에서는 시험을 진행하고 성적서를 등록합니다.

3) 기업에서는 성적서를 에너지효율공단에 등록을 해줘야되며, 아래의 사이트에서 등록합니다.

https://eep.energy.or.kr/report/report.aspx

 

한국에너지공단 효율관리제도

효율 등급에 해당하는 품목은 에너지사용량 및 대기전력의 측정을 받아 측정결과를 신고하여야 합니다. (에너지이용합리화법 제15조) 법적근거 ② 효율관리기자재의 제조업자 또는 수입업자는

eep.energy.or.kr

<한국에너지공단>

4) 기업에서는 우선 각 제품의 인증에 해당되는 인증(종류 3가지) 를 선택하여

     계정을 만들어야 됩니다.

 

※ 필자의 경우 공단의 업데이트나 보안의 문제(?)로 크롬, 익스플로우, Edge, 웨일 등 안되는 브라우저가 있습니다.

     따라서, 각 브라우저 도전 후 되지 않는다면, 효율관리제도 공지사항 참고 부탁드립니다.

 

5) 로그인 후 제품을 신규 추가하거나,

    파생의 경우 만약, 단순 영업적 이유의 판매 모델명 추가이면 단순 파생의 이유로 등록된 기본 모델명 제품에서 파생

    외관의 변경의 경우 변경된 이미지 사진 첨부 후 파생 등록 하면 됩니다.

 

6) 제품을 더 이상 발주 계획이 없다면 말소하면 됩니다.

     ※ 굳이 말소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하다면 7번 항목을 확인 하시면 됩니다.

 

7) 효율관리 기자재의 경우에는 판매실적 등록을 1년에 1번 3월 중까지 등록을 해야합니다.

     이때, 생산량(국내),(수입), 판매량, 재고량 등을 등록을 해줘야되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제품을 말소하지 않고 계속 모델들이 쌓이다보면 관리가 어려워집니다..

 

규격의 경우 아래의 사이트 참고 부탁합니다.

https://eep.energy.or.kr/notice/list.aspx

 

한국에너지공단 효율관리제도

 

eep.energy.or.kr

 

 

728x90
반응형
728x90

<<국내에서 사용되는 전기전자제품의 안전성을 검증하고 인증하는 규격>>

국내에서 유통되는 전기전자제품들은 안전인증 또는 전자파 인증, 에너지 효율 인증을 받아야 됩니다.

※ 각 제품에 따라 받는 인증은 다를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은 안전 인증에 대한 내용을 간단하게 설명하고자 합니다.

 

우선, KC 안전 인증의 종류는 아래와 같이 3가지로 나누어 집니다.

 

1. 안전 인증의 종류

 1) 공급자 적합성 확인 인증

   -,  저위험 전기용품의 경우 기업 또는 민간시험소에서 스스로 제품 시험을 실시하여 안전 기준의 적합 유무

       확인 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들어, 어뎁터 방식의 모니터 등이 있습니다.

       ※시험이 끝나 성적서가 나오면 기업의 경우 아래 사이트에 회원가입하여 등록을 해줘야 됩니다.

https://kips.kr/index.do?menuNo=2001110&nttId=null 

 

한국제품안전관리원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 위치, 불법, 불량제품 조사기관, 안전교육, 품질관리 등 안내.

kips.kr

< 한국 제품 안전 관리원>

 

 2) 안전 확인 인증

   -, 안전 인증의 규제완화의 이유로 전기용품에 대한 제품시험은 실시하나, 공장심사, 정기심사를 하지 않습니다.

      필자의 경험을 토대로 텔레비전이나 어뎁터 방식이 아닌 내장에 교류 -> 직류 SMPS 방식의 경우

      안전확인 인증을 받습니다.

 3) 안전 인증

   -, 대한민국에서 수출하고자하는 국내외 전기용품에 대한 인증을 말하며, 공장심사 및 정기심사가 필수입니다.

      필자의 경험을 빗대어 예를드는 제품의 경우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이 있습니다.

 

      안전 확인 인증, 안전인증을 받은 제품의 경우 아래의 사이트에서 검색이 가능합니다.

      ※ 만약 판매되고 있는 KC 제품의 안전 번호가 아래 사이트에서 검색되지 않는다면, 

      문제가 크게 될 수 있습니다....... (회사 영업 정지, 해당 제품 전체 환불 등 등 등)

 

https://safetykorea.kr/release/certificationsearch

 

안전한 제품, 행복한 국민 제품안전정보센터입니다.

분류별 전체 전기용품 생활용품 어린이제품 전체 안전인증 안전확인 전체

safetykorea.kr

<제품 안전 정보 센터>

 

2. 안전 규격 사이트

  -, 위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규격들을 확인 후 시험소에서는 인증을 진행하게 됩니다.

     이러한 규격은 아래의 사이트에서 해당 제품의 규격을 찾아 확인 가능합니다.

 

https://www.kats.go.kr/content.do?cmsid=304 

 

국가기술표준원 > 정책 > 제품안전 > 안전기준열람 > 전기용품안전기준

 

www.kats.go.kr

<국가기술표준원>

3. 국내 3개 기관

  1) KTC

  2) KTL

  3) KTR

 

4. 만약 규격이 변경되거나 , 규격이 애매할 때 참고 사항

  -, 안전 규격이 어느정도 체계적으로 규격화 되어있다고 아래와 같이 요건해석이 애매모호 할 때가 있습니다.

    시행일자, 파생 가능 여부 , 적용제품(적용일자가 통관기준인지 생산일 기준인지) 등

    새롭게 업데이트되는 규격을 임의로 해석했다가는 나중에 뒷목을 잡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 시험소에 전화나 메일에 답장을 보내거나, 연구원에게 질의하는 방법보다는 깔끔하게

    내용을 증빙 할 수 있는 아래의 방법을 추천합니다.

 

 

https://www.epeople.go.kr/nep/crtf/userLogn.npaid?returnUrl=%2Fnep%2Fpttn%2FgnrlPttn%2FPttnRqstWrtnInfo.paid 

 

국민신문고

 

www.epeople.go.kr

<국민 신문고>

 

 

의아할 수 있겠지만, 위 사이트에 민원 신청을 하면, 관련 국가행정조직에서 정확한 답변을 들을 수 있고,

나중에 사후관리나 문제가 되었을 때 내용 증빙도 할 수 있습니다.

필자의 경험을 삼아서는 내용이 경우에 따라 다르겠지만 1~2주정도 답변으로부터 오래걸립니다.

따라서, 이왕 질의할 내용이 있다면, 최대한 정확한 의사표현과 다양한 관점에서 질의하기를 추천합니다.

728x90
반응형

'KC 인증 > 안전 인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pliance type per Class (기기의 유형)  (0) 2023.05.16
728x90

<<감전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접지>>

보호 임피던스가 낮을 수록 보호 접지에 대한 감전으로부터 안전을 보장 할 수 있습니다.

 

이유는 , 만약 전기제품의 기본적인 접지 상태가 오류나, 단락이 되었을 때,

전류의 병렬의 법칙에 따라 저항이 낮을수록 보호임피던스 방향으로 접지됩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기제품의 외함에 접촉했을 때 전압차가 발생하더라도 감전으로 부터 예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호 임피던스가 낮다는 것은 기기의 노출된 전도성 부분과 전기가 통하는 부분(예: 충전부)와

전압 차이를 최소화함에 따라 감전으로 부터 위험이 줄어듭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절연이란  전기,열에  대한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절연 [그림1]

1. Basic insulation (기초절연)

 - ,  사용자가 만질 수 있는 전도성/비전도성 부품에서 감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기기의 충전부로부터 절연한 것

 

예를 들어,  전원코드의 내부 배선을 감싸는 기본 절연체 기초절연이라고 한다.

2. Supplementary insulation (부가절연)

 - ,  기초절연이 실패할 경우 충전부로부터 추가적으로 절연한 것

 

예를들어, 전원코드의 내부 배선을 감싸는 기본 피복물에서 한 번 더 절연체를 덮어 2층이상 및

적어도 1mm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절연 방법입니다.

KC규격에서는 16항, 29항의 절연내력 시험 , 19항의 열 품질 평가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3. Double insulation (이중절연)

 - ,  기초절연과 부가절연을 모두 포함한 절연 방법으로,

       기초 절연이 감전으로부터 보호하기 충분하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

       

       전동 공구를 예를 들 수 있으며, 사용자는 공구 사용시, 공구의 금속 부분과 접촉 할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4. Reinforced insulation (강화절연)

 -,  사용자가 충전부에 접촉할 수 있는 기기에서, 기본절연보다 더 높은 전압을 견디고,

     고장으로 부터 감전을 보호하도록 절연한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들어, 적어도 3층이상의 두께는 2mm 이상의 절연물을 사용한 절연 방법을 의미합니다.

4. Functional insulation (기능절연)

 -,  사용자가 충전부에 접촉할 가능성이 없는 영역으로 부터 감전을 보호하는 방법이며,

      예를 들어, 세탁기나 냉장고와 같이 전기 부품이 내부에 있고, 

      외함으로 인해 사용자가 충전부를 접촉 할 수 없을 때, 기기의 결함으로 인한 감전으로부터 절연한 것을 의미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